반응형
1. GI(Glycemic Index, 혈당지수)란?
GI는 어떤 음식이 섭취 후 혈당을 얼마나 빠르게 그리고 얼마나 많이 올리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이 수치는 0에서 100 사이로 표시되며, 기준은 ‘포도당(Glucose) = 100’입니다.
예를 들어:
- GI 100: 포도당
- GI 70 이상: 고GI 식품 (혈당을 빠르게 높임)
- GI 56~69: 중GI 식품
- GI 55 이하: 저GI 식품 (혈당을 천천히 올림)
2. GI 지수와 혈당의 직접적인 관계
GI가 높은 음식은 섭취 후 짧은 시간 안에 혈당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예: 흰쌀밥, 흰빵, 감자, 당분이 많은 디저트
반대로 GI가 낮은 음식은 혈당이 서서히 오르며, 포만감도 오래 유지됩니다.
예: 귀리, 현미, 고구마, 렌틸콩, 사과
당뇨병 환자에게는 고GI 식품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혈당 스파이크(급격한 상승)가 인슐린 조절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3. GI 지수의 계산 원리
GI는 음식 50g당 탄수화물 섭취 후 2시간 동안의 혈당 변화를 측정해 포도당의 혈당 반응과 비교하여 산출합니다.
즉,
GI = (해당 음식의 혈당 반응 면적 ÷ 포도당 기준 혈당 반응 면적) × 100
하지만 GI는 음식 1회 제공량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실생활에선 **GL(Glycemic Load, 혈당부하)**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GL (혈당부하, Glycemic Load)까지 이해하면 더 정확합니다
GL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GL = (GI × 탄수화물 양[g]) ÷ 100
이렇게 계산하면 실제 섭취한 음식이 혈당에 미치는 총 영향력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수박은 GI는 72로 높지만, 수분이 많아 탄수화물 함량이 적어서 GL은 낮아요.
- 반대로 흰쌀밥은 GI도 높고 탄수화물 양도 많아 GL도 높습니다.
4. GI 지수가 낮은 음식이 좋은 이유
- 혈당 급등 방지
- 인슐린 저항성 개선
- 포만감 지속
- 체중 조절에 도움
-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예방
GI는 조리법, 숙성도, 식이섬유 포함 여부, 다른 식품과의 조합에 따라 변합니다.
예: 파스타는 덜 익힌 알덴테 상태일수록 GI가 낮아요.
바나나는 덜 익었을 때 GI가 낮고, 익을수록 높아집니다.
단백질이나 지방과 함께 섭취하면 전체 식사의 GI는 낮아집니다.
5. 당뇨 환자를 위한 GI 지수 TIP!
- 밥을 흰쌀밥 대신 현미밥으로 바꾸세요.
- 과일은 주스로 먹기보단 통째로 씹어 먹기
- 단백질(예: 두부, 닭가슴살)과 함께 먹으면 GI 낮아져요.
- 섬유질 많은 음식 먼저 먹고 탄수화물 나중에 먹기
- GI 낮은 간식으로는 삶은 달걀, 견과류, 요거트 추천
6. 저GI 식품 목록 (GI 55 이하)
음식 | GI 수치 | 설명 |
귀리(오트밀) | 55 이하 | 수용성 식이섬유 풍부, 포만감 지속 |
현미 | 50~55 | 흰쌀보다 천천히 소화됨 |
고구마 | 44~55 | 삶거나 찔 경우 낮은 GI 유지 |
병아리콩(Chickpeas) | 28~35 | 단백질, 섬유질 풍부 |
사과 | 36 | 과일 중 대표적인 저GI |
배 | 38 | 수분 많고 혈당 안정적 |
체리 | 20 | 매우 낮은 GI |
렌틸콩(Lentils) | 32 | 당뇨식단에 매우 추천 |
요거트(무가당, 저지방) | 14~35 | 단백질도 풍부 |
통밀빵 | 50~55 | 흰빵보다 GI 훨씬 낮음 |
파스타(알덴테) | 45~50 | 덜 익혔을 때 GI 낮음 |
7. 고GI 식품 목록 (GI 70 이상)
음식 | GI 수치 | 설명 |
흰쌀밥 | 73~89 | 정제 탄수화물, 흡수 빠름 |
흰식빵 | 75 | 섬유질 거의 없음 |
감자(삶은) | 78~85 | 고GI 대표 식품 |
인스턴트 라면 | 73~85 | 가공 밀가루, 기름 포함 |
콘플레이크 | 81~93 | 설탕 첨가 시 더욱 상승 |
수박 | 72 | 수분 많지만 GI 높음 (GL은 낮음) |
호떡, 떡, 빵류 | 70~90 | 당분과 밀가루 혼합식 |
설탕, 꿀 | 100 | 기준 식품(포도당)과 동일 |
주스류(오렌지, 사과) | 70~85 | 과일은 저GI라도 주스로 만들면 GI 상승 |
8. GI 수치에 영향을 주는 요리 방법 5가지
1) 조리 시간
- 더 오래 익히면 GI 상승
(예: 푹 삶은 파스타는 GI가 올라감) - 덜 익히면 GI 낮게 유지
(예: 파스타 알덴테, 고구마 살짝 익힘)
2) 가공도
- 정제된 음식은 GI 높음
(흰쌀, 흰빵, 과자류) - 통곡물은 GI 낮음
(현미, 귀리, 통밀빵 등)
3) 조합 음식
-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를 함께 먹으면 GI 낮아짐
(예: 밥 + 채소 + 계란 → 혈당 상승 완화)
4) 산성 첨가
- 식초, 레몬즙 등을 추가하면 GI 감소
(예: 샐러드에 발사믹 식초 드레싱 활용)
5) 식사 순서
- 섬유질(채소) → 단백질 → 탄수화물 순으로 먹기
(소화속도 느려지고 혈당 상승 억제)
반응형
'당뇨를 이기는 스토리 > 당뇨를 이기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당뇨의 의미와 초기 증상, 관리방법 (0) | 2025.04.12 |
---|---|
정상범위에서 당화혈색소 관리하는 방법 (0) | 2025.03.31 |
스마트워치를 통한 당뇨병 혈당관리 - 제품 및 현 시장 상황 소개 (0) | 2025.03.30 |
시중에 나와 있는 혈당 측정기의 종류와 기능, 특징 알아보기 (0) | 2025.03.26 |
당뇨병 약을 섭취해야 하는 이유와 당뇨병 약의 종류 (0) | 2025.03.26 |
2형 후천성 당뇨병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0) | 2025.03.16 |
저혈당 증상, 원인, 재발 방지 방법 및 저혈당 예방을 위한 생활 방식 (0) | 2025.03.09 |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과 그 증상, 원인, 치료법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