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뇨를 이기는 스토리/당뇨를 이기는 지식

정상범위에서 당화혈색소 관리하는 방법

반응형

당화혈색소(HbA1c)란?

당화혈색소(HbA1c)는 적혈구 내의 혈색소(헤모글로빈)가 혈액 속의 포도당과 결합한 형태를 말합니다. 혈당이 높을수록 더 많은 포도당이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므로, HbA1c 수치는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당화혈색소가 당뇨병 관리에 중요한 이유

  1. 장기적인 혈당 관리 상태를 평가
    • 공복 혈당 검사는 특정 순간의 혈당만 반영하지만, HbA1c는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을 나타내므로 장기적인 혈당 조절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2. 당뇨병 진단 및 조기 발견
    • HbA1c 수치는 당뇨병을 조기에 진단하는 기준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 식사를 하지 않아도 검사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3. 합병증 예방을 위한 목표 설정
    • HbA1c 수치를 조절하면 심혈관 질환, 신장병, 신경병증 등의 합병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HbA1c를 7.0% 미만으로 유지하면 합병증 발생 위험이 현저히 감소합니다.

 

 

당뇨병 환자의 목표 HbA1c 수치

  • 대한당뇨병학회 및 국제당뇨병연맹(IDF)은 당뇨병 환자의 HbA1c 목표를 6.5~7.0% 미만으로 권장합니다.
  • 개인에 따라 목표 범위는 달라질 수 있으며, 고령 환자나 저혈당 위험이 높은 경우 7.5~8.0%까지 허용되기도 합니다.
  • 당뇨병 환자의 경우 췌장에 합병증이 잘 생기기 때문에 인슐린 분비를 원활하게 조절하는 췌장 보호를 위해 당화혈 색소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당화혈색소(%)
    HbA1c
    평균혈당수치
    정상범위 4 68
    4.2 74
    4.4 80
    4.6 85
    4.8 91
    좋음 5 97
    5.2 103
    5.4 108
    5.6 114
    5.8 120
    보통 6 126
    6.2 133
    6.4 139
    6.6 145
    6.8 151
    당뇨 합병증관리 7 154
    7.2 160
    7.4 166
    7.6 171
    7.8 177
    합병증 발병 높음 8 183
    8.2 189
    8.4 194
    8.6 200
    8.8 206
    합병증 위헙도 높음 9 212
    9.2 218
    9.4 224
    9.6 230
    9.8 236
    10 240
    10.2 248
    10.4 254
    10.6 258
    10.8 264
    11 269
    12 298
    13 326

 

 

 

당화혈색소를 낮추는 방법

  1. 규칙적인 혈당 관리
    • 탄수화물 섭취를 조절하고, 혈당 지수가 낮은 음식을 섭취합니다.
  2. 운동
    • 유산소 운동(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과 근력 운동을 병행하면 혈당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3. 약물 치료
    • 필요할 경우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강하제를 복용하여 목표 HbA1c 수치를 유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