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병 환자가 포도당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그러다 보니 당뇨 수치를 관리하는 다양한 기계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당뇨 수치를 측정하는 기계는
- 소량의 혈액 샘플(일반적으로 손가락 끝에서 채취)을 가지고 기계에 스트립 시험지를 사용하여 혈당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
- 팔뚝과 배에 부착하여 핸드폰등과 연동 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하는 방법
- 아직 정확도도 약하고 대중화 되진 않았지만 스마트기계(스마트 워치 등)를 가지고 계속 모니터링하는 방법
위처럼 세분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란셋으로 혈액을 체취하는 통증도 없고, 고가의 기계를 팔뚝에 부착하는 일도 없는 스마트시계를 통한 혈당수치 관리 방법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시계를 통한 혈당관리가 현재 어디쯤 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워치를 통한 혈당 측정은
광학 센서, 적외선 또는 전파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피부나 다른 조직을 통해 포도당 수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이러한 스마트 시계를 통한 혈당 측정의 큰 장점 중 하나는 바늘이나 주사기 끝을 이용하는 침습형이 아닌 비침습적 방식이라는 것이다.
스마트워치를 통한 혈당 측정 방식은 비침습적(Non-invasive) 센서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합니다. 기존의 혈당 측정기는 피를 뽑아 혈당 수치를 분석하는 방식이지만, 스마트 워치는 광학 센서, 적외선(IR), 라만 분광법, 바이오임피던스 기술 등을 활용해 혈당을 측정합니다.
1. 비침습적 포도당 모니터의 공통 기술
1) 광학 분광학 (Optical Spectroscopy)
- 피부를 통한 적외선, 근적외선을 이용해 혈액 내에 있는 포도당 수치를 분석합니다.
- 대표적 방식으로는 아직 개발중인 Know Labs의 Harmoni,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 근적외선 분광법(NIR). 이 있습니다.
2) 전자기 감지
- 전자파가 포도당 분자 신체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분석하여 여기서 발생되는 포도당을 측정합니다.
- 착용형 포도당 모니터등의 제품이 해당 방식으로 제품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3) 경피 포도당 모니터링
- 피부를 통해 혈액 내 포도당을 추출하고, 측정하기 위해 약한 전류를 사용합니다.
피부 표면에 전류를 흘려보내 조직의 저항값을 분석하여 혈당 농도를 추정합니다. - 현재 스마트워치의 상당부 회사가 이 기술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4) 침이나 눈물 기반 모니터링 (Sweat or Interstitial Fluid Sensing)
- 침, 땀, 눈물 등을 분석하는 포도당 센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땀이나 체액 속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
- 개발 중지가 된 구글의 스마트 콘택트 렌즈 프로젝트 가 해당 연구 방식에 해당한다. 해당 기기 연구는 비록 중단되었지만 해당 기술에 대해서 학계에서는 정확도 부분에서 향후 정확 할 것이라 유추하여 향후 개발 재계성이 높습니다.
2.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혈당 측정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 비침습적 방식으로 바늘을 찌를 필요 없이 혈당 관리 가능함.
- 하루 종일 부작용 우려 없이 착용 가능하며, 지속적인 건강 모니터링 가능함.
- 혈당 및 심박수, 스트레스, 수면 패턴 등 종합적인 건강 관리가 가능함.
2) 단점
-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침습방식 등의 혈당 측정기보다 신뢰도가 낮아 의료적 활용이 어려움.
- 스마트워치는 현재 정확한 혈당 수치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음.
3. 현재 시중에 나온 스마트워치 혈당 측정 제품 리스트
현재 시중에는 정확도가 높은 상용 스마트워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스마트 워치를 개발하는 회사에서는 꾸준히 혈당과 관련된 기능을 스마트워치에 제공하고 있고, 그 정확성은 점점 더 정확해지고 있습니다.
출시된 제품 및 특징
현재 FDA(미국 식품의약국) 승인 받은 비침습 혈당 측정 스마트워치는 없습니다. 이것은 측정 시 정확도의 문제 때문인데 각 스마트워치 회사에서는 약 3년 후에는 정확도를 개선한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제품명 | 회사명 | 제품 특징 | 정확도 | 장점 | 단점 |
핏비트 센스 | Fitbit (구글) | 피부 전기 활동 센서 활용, 혈당 관련 데이터 제공 | 중간 (직접 측정X) | 스트레스·수면 데이터와 결합 가능 | 직접 혈당 수치 측정 불가 |
Samsung Galaxy Watch 6 (예정) | 삼성 | 비침습 혈당 측정 기술 연구 중 | 미정 | 삼성 헬스 앱과 연동 가능 | 출시 미정 |
애플 워치 | 애플 | 광학 센서를 통한 혈당 측정 연구 중 | 미정 | 아이폰 및 건강 앱과 연동 | 출시 미정 |
하프비 스마트 밴드 | 합비 | 뇌파를 활용한 건강 데이터 모니터링 | 낮음 | 비침습 방식 | 혈당 직접 측정 불가능 |
2025년 현재 출시된 제품 안내
현재 스마트워치 중 의료용 데이터로 활용될 만큼 정확도가 높은 제품은 애플 워치 시리즈 8과 갤럭시 워치 5입니다. 핏빗 센스 2도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지만, 의료 기기로 공식 인증받은 기능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1) ★ ★ ★ ★ ★ 애플(Apple) - 애플워치 시리즈 8 (Apple Watch Series 8)
![]() |
|
2) ★★★★☆ 삼성전자(Samsung) - 갤럭시 워치 5 (Galaxy Watch 5)
![]() |
|
3) ★★★★☆ 핏빗(Fitbit) - 버사 3 (Versa 3)
![]() |
|
4) 가민(Garmin) - 비보무브 스포츠 (vivomove Sport)
![]() |
|
5) 샤오미(Xiaomi) - 레드미 워치 2 라이트 (Redmi Watch 2 Lite)
![]() |
|
6) 레노버(Lenovo) - S2 프로 (S2 Pro)
![]() |
|
7) 렉쏘(Lexso) - N1
![]() |
|
8) 라플루(Rafloo) - RS-07AMD
![]() |
|
4.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혈당 측정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 비침습적 방식으로 란셋이나 바늘로 피부를 찌를 필요 없이 혈당 관리 가능함.
- 하루 종일 착용하며 지속적으로 건강 모니터링이 가능함.
- 혈당뿐만 아니라 심박수, 스트레스, 수면 패턴 등 종합적인 건강 관리가 가능함.
2) 단점
- 기존의 혈당 측정기보다 현재는 신뢰도가 낮아 혈당 수치 관리의 활용은 어렵고, 보조적인 관리로만 사용이 가능함.
- 때문에 공식적으로 의료 기기로 인정받지 못한 제품이 대다수 임.
- 대부분의 스마트워치는 혈당 수치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적 수치로만 활용, 제공함.
5. 향후 개발 방향성
삼성, 애플, 구글, 메드트로닉 같은 대기업들이 비침습 혈당 측정 기술을 계속적으로 연구 중이며, 개발에 대한 결과는 향후 3~5년 내에 상용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 AI 및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스마트워치 센서의 데이터와 스마트워치 내에서 측정한 알고리즘을 결합해 정확도를 향상하고 있습니다.
- 착용한 피부를 통한 적외선, 초음파, 나노센서를 활용, 정밀한 측정 방식 연구하고 있습ㄴ디ㅏ.
- CGM(연속 혈당 모니터)과 스마트워치의 연동성을 활용하여 스마트 워치나 핸드폰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입니다.
스마트워치로 당뇨 환자가 혈당을 관리해도 될까?
당뇨 혈당 수치 관리는
현재는 스마트워치만으로 혈당을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비침습 혈당 측정 기술이 아직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당뇨 환자는 기존의 혈당 측정기(혈당계 또는 CGM)와 반드시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스마트워치를 통한 비침습 혈당 측정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의료적으로 신뢰할 수준은 아닙니다. 당뇨 환자는 기존의 혈당 측정 방식을 유지하면서 스마트워치를 보조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당뇨를 이기는 스토리 > 당뇨를 이기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지수와 혈당 관게 및 GI지수를 낮추는 방법 (0) | 2025.04.12 |
---|---|
소아당뇨의 의미와 초기 증상, 관리방법 (0) | 2025.04.12 |
정상범위에서 당화혈색소 관리하는 방법 (0) | 2025.03.31 |
시중에 나와 있는 혈당 측정기의 종류와 기능, 특징 알아보기 (0) | 2025.03.26 |
당뇨병 약을 섭취해야 하는 이유와 당뇨병 약의 종류 (0) | 2025.03.26 |
2형 후천성 당뇨병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0) | 2025.03.16 |
저혈당 증상, 원인, 재발 방지 방법 및 저혈당 예방을 위한 생활 방식 (0) | 2025.03.09 |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과 그 증상, 원인, 치료법 (0) | 2025.03.05 |